태양광 Q&A

궁금해하시는 질문들을 모았습니다!

우리가 버리는 재활용 쓰레기들을 재활용 업체에서 수거하여 처리하는 것 처럼,

태양광 폐모듈도 재활용 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모듈은 70%가 알루미늄, 은,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 중 95%를 재활용 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설비는 보통 20~30년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직까지는 대량의 태양광 폐모듈이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내년부터 연간 9,665톤을 시작으로 대량의 태양광 폐모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여

정부와 민간기업에서 폐모듈 처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데요,


충북 진천에 태양광 재활용 센터가 완공되어 현재 시범 가동중이며

올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 예정으로 태양광 폐 모듈 연간 처리량은 3,600톤으로 전망한다고 합니다.


태양광 재활용 기술 확보 및 민간이전으로 폐모듈 재활용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전망입니다.

2023년부터는 태양광 모듈에 EPR(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를 도입해

폐모듈의 일정량 이상을 재사용·재활용 하도록 정부가 제도적으로 뒷받침 할 예정이라고 하니

태양광 재활용시장의 활성화로 발전사업주의 부담을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낙뢰 등으로 인한 인버터 화재가 발생한 사례는 있으나,

타 전기설비 (변전설비) 등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태양광 설비 화재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연 평균 64건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전체 전기 설비 화재 중

4.3%로 매우 낮습니다.


또한 화재 확산 사례가 거의 없으며 인명 피해도 없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주변 지역 열화상 촬영결과,

열섬 현상 또는 인접 지역간 특별한 온도차는 없었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초근접 거리에서 태양빛이 최대로 조사되는 시간에 미미한 온도 상승은 있으나

가축물, 농작물 등 피해를 줄 수준은 아닌 것으로 분석 되었습니다.

(발전소 울타리 10m이내에서 0.1℃ 정도 영향-에너지기술평가원)

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은 밤에는 발전이 되지 않아 소음이 없으며

낮에 발생하는 소음은 사람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준이 아닙니다.

소형인버터는 약 25dB로 인버터 가까이에서 들어야 냉장고 정도의 소음이 발생하고

대형인버터는 약 60dB로 인버터 가까이에서 들어야 에어컨 정도의 소음이 발생합니다.


일상 생활에 불편을 끼칠 수준이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태양광 모듈 전선 연결에 극소량의 납이 사용되기는 하나

우리나라에 보급된 태양광 모듈에는 크롬,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국내 태양광 폐모듈 4종을 대상으로 7가지 중금속 

(구리,납,비소,수은,카드뮴,크롬,6가크롬)에 대한 용출 및 함양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정량한계 이하로 검출되었습니다.

태양광 모듈의 빛 반사율(5.1%)은 건축 외장재 벽돌 및 유리보다 낮습니다.


태양광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려면 모듈 내 태양전지가 빛을 많이 흡수해야 해서 

표면 유리에 반사방지막 코팅 기술을 적용해 반사율을 최대한 낮추고 있습니다.


<빛 반사율 비교>

품명 구분태양광 모듈유리/플라스틱붉은 벽돌밝은 목재
반사율(%)5.18~1010~20
25~30

태양광 모듈에는 직류 전기가 흘러 전자파가 나오지 않고,

인버터에서는 전자파가 극히 미약하게 발생하나,

인체나 가축 등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변압기인버터 내부인버터실 외부
17.330uT9.602uT2.226uT

 

인버터 실내의 변압기에 가장 강한 자기장이 발생되었지만(17.330uT)

이는 WHO 권고기준 (83.3uT)의 20% 이내로서

태양광 발전소의 자기장 세기는 극히 미약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한국전자파학회지/한국에너지공단)

태양광 발전사업의 수익은 SMP(한전)와 REC(공급의무사)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분석 조건 :

  • 설비 용량 100kW
  • 일조시간 3.8시간
  • 단가 (22년 상반기 현물평균) SMP 168.8원, REC 50원 
  • 가중치 1.5 


용량 x 일조시간 x 30일 = 11,400kW : 월 평균 발전량

용량 x 일조시간 x 365일 = 138.700kW : 연 평균 발전량

11,400kW x 168.8(SMP) = 1,924,320 원 : SMP 월 수익 평균치 

11,400kW x 75(REC) = 855,000원 : REC 월 수익 평균치

138,700kW x 168.8(SMP) = 23,412,560원 : SMP 연 수익 평균치

138,700kW x 75(REC) = 10,402,500원 : REC 연 수익 평균치

∴ 100kw 기준 연 평균 수익 예상치 = 33,815,060원


위 수익 분석은 22년 상반기 평균 수익 분석으로

22년 하반기 평균 수익은 상반기 대비 상승하였으며

수익은 설치 장소의 일조시간, 일사량, 방위각, 기온, 풍속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므로

정확한 분석, 실력 있는 기업 

(주)해울림과 함께 하시는게 정답입니다.

상담신청    

문의하실 내용의 종류를 선택하시고      

성함과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검토 후      
24시간 이내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해울림 대표 : 이예진

사업자번호 741-87-02435  이메일 : m16003449@sunecho.co.kr

본사 : 강원도 원주시 능라동길 37, 위너스빌딩 401~2호 (1600-3449)

남부총괄본부 :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로 50길 39, 좋은빌딩 3층 (1661-2724)
구미지사 : 경상북도 구미시 완산로 70-9, 103-601 (구미지사/기술관리부)
광주지사 :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110-43 B동 1105호 (광주지사/구조검토)


고객센터

1600-3449

평일 09:00~18:00 (토/일/공휴일 제외)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안내 ↗


COPYRIGHT(C) ㈜해울림. ALL RIGHT RESERVED.